Sub Banner

여치칼럼

[월요시론/서은아]정신분석적 미술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지숙 댓글 0건 조회 62회 작성일12-06-18 10:31

본문

 
월요 시론
서은아 <본지 집필위원>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정신분석적미술치료의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개인의 성격구조를 수정하는 것과 행동이 더욱 현실적으로 되고 본능충동의 욕구에 따르지 않도록 자아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정신분석치료의 초점은 무의식의 자료를 철저히 분석하는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치료의 목표는 문제해결이나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데 있지않고 오히려 자기 이해를 위해 과거속으로 깊이 탐색해 가는 것인데 이것은 성격변화에 필수적인 것이다. 정신분석치료는 통찰을 얻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지만 그런 지적 이해만을 얻기위해 실시되는 것이 아니다. 자기이해와 관련되는 감정과 기억들은 경험돼야 할 필수적인것이다.

정신분석치료기법은 내담자의 자각을 증진시키고 행동에 대한 지적통찰을 얻게하며 증상의 의미를 이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치료과정은 내담자와 대화에서 정화(catharsis)로, 정화에서 통찰로, 그리고 통찰에서 무의식적인 문제를 다루면서,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성격변화로 이끄는 일련의 지적, 정서적인 이해와 재교육의 목표를 향해 가는 것이다.

정신분석치료의 기본 기법은 자유연상법, 해석, 꿈의 해석, 저항의 분석, 전이의 분석 등이다.

자유연상이란 자신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들을 그것이 아무리 고통스럽고 사소하며 우스꽝스럽거나 비논리적이라고 하더라도 있는 그대로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해석은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갈등을 의식하는데 필요하다. 즉 1, 내담자가 자신의 일부로 수용할 수 있다고 판단될때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2 항상 표면적인 것에서 시작해서 정서적으로 상황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까지만 해야한다. 3 저항이나 방어의 저변에 있는 감정이나 갈등을 해석하기전에 먼저 그런 저항이나 방어를 지적해 주는 것이 좋다.

꿈의 분석과 해석 - 치료과정에서 꿈의 내용을 말하게 하고 그것을 토대로 자유연상을 하도록 하며 그와 관련된 감정도 이야기하도록 한다. 결국 꿈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며 내담자의 문제에 대해 통찰을 얻게 된다.

저항분석과 해석 - 치료의 진행을 방해하고 무의식적인 자료를 생산하는 데 방해가 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현재상태를 유지하고 변화를 방해하는 모든 생각, 태도, 감정, 행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저항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숨기고자 하는 것, 피하고자하는 것, 불안해 하거나 두려워하는 대상 등의 의미를 파악해 내담자로 하여금 통찰을 얻게 한다.

전이분석과 해석-치료상황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일종의 왜곡으로써 과거의 중요한 타자에 대해 느꼈던 감정을 현재의 치료자에 대해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이에 대해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무의식적인 갈등과 문제의 의미를 통찰하도록 돕는다. 즉 이전의 감정과 갈등에 대해 새로이 이해하고, 지금까지 인간관계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가지고 있던 행동패턴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는 1 억압된 것을 드러내며, 2 환자가 이전에 숨겼던 생각과 느낌이 어떻게 자신의 행동과 연관되는지 그 의미에 대해 통찰을 얻도록 돕는다. 3 치료과정을 정서적이고 인지적으로 이끌어 전이가 일어나면 환자의 통찰력을 기르도록 도와준다. 4 통찰을 통해 학습한 것을 치료과정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훈습을 통해 재학습을 도와준다.

즉 아동미술치료는 그림에 대한 환자의 연상을 통해 자기표현과 승화작용을 함으로써 자아가 성숙하게 된다. 미술작업을 통해서 자신의 파괴적, 반사회적 에너지를 분출함으로써 그것을 감소시키거나 전환시킨다. 또한, 성적인 에너지나 공격적 에너지가 승화하도록 강화시켜 준다. 아동의 근원적인 본능 욕구를 다른 방향, 즉 미적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있다.

결국 정신분석적 미술치료는 자유연상같이 개방적 접근으로 내담자를 괴롭히는 사항을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내담자가 지적하는 말들을 경청하고 작품에 관련된 연상질문만 한다. 미해결된 갈등과 그것을 반복하는기제를 찾는다. 좌절감, 승화능력, 불안에 대한태도, 발전적인 힘과 퇴행경향성도 관찰한다. 발달과정상으로 어느 시점, 어떤상황에 갇혀있는지(고착)와 방어대상에 관한 단서 및 방어기제를 알고 치료과정으로 들어간다.
  
※ 이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치의신보 제 2041호-2012,6,18>

댓글목록

Total 91건 3 페이지